posted by M.Gunny 2018. 4. 11. 03:55

수요함수(D): 일정기간동안 각각의 가격에 대해 수요자들이 구입하고자 하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함수

수요의 법칙: 일반적으로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

수요의 가격탄력성(εP): 어떤 재화가격이 변화할 때 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. 대체재가 많을수록,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을수록, 사치재일수록, 시장을 좁게 정의할수록, 시간을 길게 잡을수록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크다.

총수입(TR): 어느 재화에 대한 소비자의 지출액이며 동시에 재화판매자의 판매수입

수요의 소득탄력성(εM): 소비자의 소득이 변할 때 해당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

정상재: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도 증가하는 재화

열등재: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가 감소하는 재화

사치재: 소비의 증가율이 소득의 증가율보다 더 큰 경우

필수재: 소비의 증가율이 소득의 증가율보다 더 작은 경우

수요의 교차탄력성(εC): 한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 다른 재화의 수요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

대체성: 성질이 비슷해서 서로 바꾸어 소비해도 큰 차이가 없는 재화간의 성질

보완성: 함께 소비해야 만족감이 더 커지는 재화간의 성질

공급함수(S): 일정기간동안 각각의 가격에 대해 공급자들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양을 나타내는 함수

공급의 법칙: 일반적으로 가격이 상승하면 공급량이 증가

공급의 가격탄력성(eP): 어떤 재화가격이 변화할 때 그 재화의 공급량이 얼마나 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. 생산비용의 변화가 없을수록, 저장이 쉽고 저장에 드는 비용이 낮을수록, 고려되는 기간의 길이가 짧을수록, 생산요소의 공급이 탄력적일수록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크다.